애플페이
아이폰 이용자 분들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드디어 며칠 뒤면 애플페이가 국내에 도입됩니다.
애플페이는 3월 21일 국내에 출시됩니다.
각설하고 가장 궁금한 것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Q 그러면 이제 모든 카드 사용자들이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나?
A 아무거나 발급받으시면 안 됩니다 애플페이는 NFC 결제 방식입니다.
NFC 결제는 emv라는 국제결제 규격을 따르고 있어서 유로카드 / 마스터카드 / 비자카드 이런 식으로 국제 결제가 가능한 카드들만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애플페이를 사용하려면 현대카드 발급하실 때 국내 전용이 아니라 반드시 마스터카드나 비자 카드로 발급받으셔야 됩니다.
애플 페이 사용법
애플 페이 등록
이렇게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딱지가 붙어 있는 현대카드를 발급하셨다면 이제 아이폰에서 지갑(월렛) 앱을 열고 플러스(+) 버튼 그러고 나서 카드 정보를 입력해 주면 애플 페이 등록이 끝났습니다. 이제 애플 페이를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본 여행에서 스이카를 등록해서 애플 페이를 경험해봤습니다. 대중교통을 탈때 매우 편리했어요.
사용했던 내역도 아이폰 지갑앱에서 바로 볼 수 있습니다.
애플 페이 사용
여기서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하시려면 설정 앱 들어가서 지갑 및 애플페이 여기 있는 측면 보통 이중 클릭 체크하시면 잠금화면 상태에서도 이 측면 버튼을 따닥 두 번 누르면 자동으로 애플페이가 실행됩니다.
페이스 아이디로 얼굴 인식하고 결제단말기에 갖다 대면 결제가 되는 거죠. 어렵지 않죠.
애플워치를 가지고 계시다면 동일한 방식으로 애플 워치를 NFC 단말기 근처에 가지고 가는 것만으로도 결제가 가능 합니다.
Q 그러면 전국 아무 매장에서나 다 결제가 가능한가요?
모든 매장에서 다 되는 건 아니고 NFC 결제 단말기가 있는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아마 애플페이가 출시되자마자 결제하려고 하면 안 되는 곳이 굉장히 많을 거예요.
NFC 단말기는 요렇게 생겼습니다.
결제 단말기에 이런 아이콘이 있다 그러면 아 애플페이 되겠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혹 가다가 마스터카드만 혹은 비자카드만 지원하는 NFC 단말기들도 있기 때문에 내가 사용하는 카드 로고가 화면에 띄워져 있는지 확인을 해줘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국제 결제가 되는 카드라면 모두 지원하는 방향으로 적용될 것입니다.
애플 페이 되는 곳
앞서 말한 것처럼NFC 단말기를 가지고 있는 곳에서는 사용이 가능합니다. 편의점은 NFC 단말기가 대부분 다 보급되어 있고 대형 프랜차이즈매장에도 일부 보급되어 있습니다.
가장 먼저 적용되는 곳은 애플스토어와 롯데 계열 가맹점이 준비가 되고 있습니다.
롯데 마트, 하이마트 , 롯데온, 홈플러스 현대백화점을 비롯한 다수의 기업들도 애플페이 도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메가커피, 아마스빈커피, 엔제리너스 커피, 던킨도넛, 크리스피크림 도넛, 롯데리아, 맥도널드, 버거킹, GS25, CU, 세븐일레븐을 비롯한 NFC 단말기가 탑재된 대부분의 편의점, 그리고 이케아와 얼마 전에 해당 서비스가 유출되었던 배달의 민족 앱에서도 애플페이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아마도 가장 유용하게 사용하시게 될 곳은 바로 우정사업본부, 전국의 우체국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정사업본부는 이미 비자의 컨택리스 페이가 먼트(visa contactless payment)의 공식 제휴사 이기 때문에 해외 애플페이는 이미 결제가 가능합니다. 애플페이 서비스 시작과 함께 우체국 공식 사용 여부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집 앞에 있는 마트 식당 같은 자영업 매장들인데 아직은 NFC 단말기가 보급된 매장이 전국적으로 10% 밖에 안 됩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아직 교통카드로는 바로 서비스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데, 우선 티머니를 비롯해서 코레일과 부산 교통공사가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코레일은 자회사의 선불 교통 카드 ‘레일 플러스’의 간편 결제서비스와 애플의 iOS 호환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입 검토는 이미 작년부터 있어왔고 서비스 개시 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도입 시기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해외에서는 대부분의 카드 단말기들이 NFC라고 하던데
왜 우리나라만 NFC 단말기 보급률이 이렇게 저조한가요?
우리가 보통 카드를 결제할 때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쓰죠. 카드 뒷면에 있는 마그네틱을 긁어서 사용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MS 방식과 IC칩을 단말기에 꽂아서 결제하는 IC방식. 삼성페이는 MS 방식과 유사한 MST 방식을 사용합니다.
마그네틱 띠를 긁을 때 발생하는 자기장을 스마트폰 내부에 있는 안테나로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마그네틱을 긁어서 사용하는 MS 방식 대부분의 카드 결제 단말기에서 삼성페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삼성페이를 위해서 별도의 카드 결제 단말기를 보급할 필요가 없으니까 국내에서도 인프라의 벽에 부딪히지 않고 빠르게 자리를 잡았죠.
그런데 이 마그네틱 카드 결제 방식이 워낙 오래된 기술이라 보안상의 문제가 있어서 직접 긁거나 직접 꽂지 않고 교통카드 찍듯이 그냥 근처에 가져가기만 해도 결제가 되는 비접촉 결제 방식으로 교체하는 게 국제적인 추세입니다.
삼성페이도 해외에 출시하는 모델에서는 MST 기능을 빼고 NFC 기능만 탑재한 툴로 출시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해외에서는 NFC 결제 단말기가 mst보다 훨씬 대중적으로 보급되어 있습니다. 아직 우리나라는 NFC 보급률이 현저히 낮아 이 때문에 애플페이가 국내에 들어오려다가도 매번 NFC 단말기 교체 비용 등 벽에 부딪혀서 못 들어왔던 거죠.
이런 국내 시장 환경에서 현대카드가 등장합니다.
"NFC 단말기 보급이랑 수수료 문제 우리가 제일 먼저 짊어질 테니까 1년 동안은 애플페이 현대카드로만 쓸 수 있게 하자"
이렇게 승부수를 띄운 거예요. 하지만 국내 법상 독점 문제로 현재는 현대 카드가 독점으로 애플과 계약하지는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현대카드만 유일하게 애플과 계약이 되어 있는 상태이고 다른 카드회사도 애플과 계약을 해야 되는데 그 과정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당분간은 현대카드로만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까?
현대카드는 애플 페이를 국내에 도입하려고 노력했던 만큼 이익을 만들기 위해서 애플 페이 출시 초기 현대 카드를 공격 적인 마케팅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 다른 카드 회사가 애플과 계약하기 전에 독점적인 위치이기 때문에 빠르게 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좋은 프로모션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에 IOS 유저가 많고 젊은 층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매장일수록 빠르게 애플 페이를 도입할 것으로 보이고 많은 이벤트를 통해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것으로 보입니다.
예상보다 빠르게 적용될 것으로 보이는 애플 페이의 긍정적인 미래가 기대됩니다.
지금 까지 애플을 좋아하는 개발자 Dane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얼리어답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의 원모어띵 애플 비전 프로 알아보기 (4) | 2023.06.09 |
---|---|
아이패드 에어 5세대 크기 인치 색상 256 구매 하기 전 알아야 될 모든 것 (0) | 2023.05.28 |
애플 신제품 출시 아이폰13 / 아이폰13프로 사전 예약 페이지 공개 (0) | 2021.09.29 |
갤럭시탭 S7 FE 출시 정보 가격 스펙 (0) | 2021.06.08 |
M1 아이맥 24인치 좋지만 정답은 아니야 M1 맥미니와 비교 하기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