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개발관련/자바스크립트 팁

yarn2 ( yarn berry )와 함께 PnP(Plug'n'Play)를 적용해보기 고통스러운 node_modules 탈출 하기

yarn2 적용 하기 1. yarn 설치 $ npm install -g yarn 기존에 npm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설치 2. yarn 버전 설정 $ yarn set version berry $ yarn -v yarn set version berry : yarn2의 별칭이 berry입니다. yarn의 버전을 berry로 정합니다. yarn -v를 통해서 현재 yarn의 버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yarn set version 3.2.3 위처럼 특정 버전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3. yarn 설정 방법 기존 npm 사용의 경우 .npmrc -> .yarnrc.yml package.lock.json 파일 삭제 package.json 파일에 작성된 eslintConfig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e..

개발관련/리액트

[React] Hoc 와 render 속성 값 사용 비교

Hoc vs Render 속성 값 컴포넌트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로직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방법에는 Hoc 와 Prop render 를 사용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1. 컴포넌트 내부 일부에서 적용하는 경우 HOC 현재 컴포넌트의 전체에 적용 //HOC //로그인시에만 렌더링하는 HOC const WithIsLogin = WrappedComponent => class WithIsLogin extends Component { state = { isLogin : false } checkIsLogin = ()=> { /***/ } componentDidMount(){ this.setState({ isLogin : this.checkIsLogin() }) } render(){ if(this.state...

운동하는 후니

시즌7 트리거 18주 주기화 루틴 3주차 대사스트레스 훈련 루틴

1주차 스트렝스 루틴 1주차에서 이어집니다. 3주차 대사스트레스 훈련 루틴 3주차 대사스트레스 훈련 규칙 20RM으로 훈련 목표는 20RM의 무게 증가 매회마다 네거티브 1~2초 1~2세트 힘들다 3세트 실패 지점 까지 15회 성공시 감량 16회 ~ 19회 성공시 유지 20회 성공시 증량 ! 부분반복 핵심 최대이완 최대 수축이 아닌 가장 힘든 구간을 반복한다 Day 1 (월) Day 2 (수) Day 3 (금) 부분반복 120초 20개 3세트 싯티드 숄더 플레스 45도 케이블 로우 덤벨 플로우 프레스 (바벨이나 덤벨로 대체 가능) 싯티드 로우 고블릿 스쿼드 (덤벨을 이용한 스쿼트) 케이블 크런치 얼터네일 덤벨컬 부분반복 120초 20개 3세트 레터럴 레이즈 인클라인 케이블 프레스 ( 머신 대체 ) 클로즈..

운동하는 후니

시즌7 트리거 18주 주기화 루틴 1주차 스트랭스 베이스 훈련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NTlsmCUFks 트리거님의 주기화 루틴을 제가 보기 위해서 정리한것입니다. 1주차 스트렝스 루틴 1주차 스트렝스 훈련 규칙 6RM 또는 8RM으로 훈련 목표는 6,8RM의 무게 증가 매회마다 네거티브 2~3초 매 세트 실패 지점 직전까지 진행 6RM으로 훈련 진행시 4회 성공시 감량 5회 성공시 유지 6회 성공시 증량 ! 8RM으로 훈련 진행시 6회 성공시 감량 7회 성공시 유지 8회 성공시 증량 ! Day 1 Day 2 Day 3 6개 3세트 200초 언더그립 바벨로우 데드리프트 와이드 랫풀 다운 6개 3세트 200초 ( 부상 방지를 위해서 세트간 휴식 시간에 회전 근개 스트레칭 운동하기(익스터널 로테이션) ) 벤치프레스 인클라인 덤벨..

카테고리 없음

왕초보를 위한 도커 이미지 빌드 하기 docker build image

도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 docker build $ docker build [OPTIONS] PATH | URL | - docker build 명령어로 도커이미지를 만든다. PATH나 URL로 build context를 지정할수 있다. Dockerfile는 docker 이미지 빌드시 실행할 명령어 파일이다. Dockerfile은 지정된 build context 경로를 기준으로 실행된다. docker build 의 실제 처리는 Docker daemon 이 하게 되고, docker build 요청이 시작되면 제일 먼저 Docker daemon 에게 build context 의 하위 모든 파일에 대한 정보(contents)를 전송한다. 예시 PATH 지정 $ docker..

카테고리 없음

왕초보를 위한 도커란 무엇이냐

웹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많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서버 컴퓨터에는 O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DB / 어플리케이션 / 어플리케이션 사용할 라이브러리들. 여러 가지 것들의 서버 컴퓨터에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 할때마다 설치하는건 여간 귀찮은 작업이 아니다. 마치 매번 CPU / 그래픽카드 / 메인보드 구해서 PC를 조립하는것처럼 서로 버전이 호환되는지 안정적인지 이슈는 없는지 확인해야 되기 때문이다. 도커 ( docker )는 이런 행위를 편리하게 도와주는 도구 이다. 도커란? 동일한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스를 각각 독립되게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이다. 컨테이너? 독립적으로 실행된 프로세스를 도커라고 한다. 이미지 컨테이너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라이브러리 / 코드 / 설정 등의 정보를 담고..

개발관련/자바스크립트 팁

[JavaScript] encodeURI vs encodeURIComponent 의 차이

encodeURI vs encodeURIComponent 의 차이 디코딩 권장 방법 tryDecode: string => { try { return decodeURIComponent(string) } catch (e) { return unescape(string) } } 특수 문자의 인코딩 포함 여부의 차이이다. encodeURIComponent : 특수 문자 포함 인코딩 encodeURI : 특수 문자 제외 인코딩 디코딩 시 인코딩 타입을 모를 경우 decodeURIComponent 로 할 것을 권장 URI 형식이 아닐 경우(텍스트가 잘린 경우 등) 디코딩시 에러를 반환한다. 그때는 unescape 로 예외 처리 해준다. 아래 링크를 통한 쿠팡 구매 시 블로그를 지속하는 큰 힘이 됩니다. https:/..

개발관련/자바스크립트 팁

[React] Hoc와 render 속성 값 비교

Hoc vs Render 속성 값 컴포넌트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로직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방법에는 Hoc 와 Prop render 를 사용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1. 컴포넌트 내부 일부에서 적용하는 경우 HOC 현재 컴포넌트의 전체에 적용 //HOC //로그인시에만 렌더링하는 HOC const WithIsLogin = WrappedComponent => class WithIsLogin extends Component { state = { isLogin : false } checkIsLogin = ()=> { /***/ } componentDidMount(){ this.setState({ isLogin : this.checkIsLogin() }) } render(){ if(this.state...

개발자 Dane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1 Page)